목록OS (13)
운동하는 공대생

1. CPU Scheduling정의 : 어떤 프로세스를 다음으로 실행을 할 것인지에 대한 방식 다음에 어떤 프로세스를 실행을 해야하는지는 여러 가지 지표를 통해서 선택이 되어야 한다.Minimize trunaroung time : 작업 소요 시간Minimize response time : 최초 실행 시간 Minimize waiting time : process 대기하는 queue에서 많은 시간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Maximize throughput : 처리율이 최대로 나와야 한다.Maximize resource utilization : 디바이스 활용을 최대화Minimize overhead : context switch를 최소화해야 한다.Maximize fairness : 같은 양의 CPU 리소스를 활..

1. Mode switch User -> KernelInterrupts: 외부의 hardware에 대하여 발생한다.Exceptions: 프로그램에서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외부 침입자 같은 상황System calls: process에서 kernel에 요청을 줄때 Kernel -> User- Return from interrupt, exception, system call : 이전에 User에서 Kernel 상태가 끝이 나고 돌아올 때- User-level upcall(UNIX signal) : 비동기적 사용자 프로그램의 처리 2. Data Transfer Modes PIO(programmed IO)CPU가 I/O 디바이스와 memory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에 관련되어 있다..

1. Intro과거에는 OS kernel과 application이 같은 메모리 주소 체계에서 실행되었다. 하지만 이는 하드웨어의 리소스를 추상화하는 OS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며 보안성에도 취약하다. 2. Protectionwhat should the designer do for protection? 1) Define a unit of protection: 어떤 문제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2) Devise protection mechanism for the kernel: 보호 체계를 고안해야 한다. Unit of protectionabstraction : 제한된 권한에서의 프로그램 실행, 컴퓨터 하드웨어에 대한 추상화 OS designer names the abstraction as a pro..

1. 프로세스프로세스(process)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운용체제 영역에서 각각의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Process Control Block(PCB)라는 것을 두고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보관한다. 2. 프로세스 상태 관리기본생성 상태 : PCB 를 생성하고 작업 큐에 넣는다. 이때 프로세스 번호(PIC)가 결정된다. 이후에 준비 상태로 넘어간다.준비 상태 : 프로세스는 준비 큐(ready queue)에 머물고 있다가 스케줄러에 의해 선택되면 CPU에 할당받는다. CPU에 할당하는 과정을 디스패치(dispatch)라고 한다.실행 상태 : CPU가 프로세스의 명령을 처리하며 처리되다가 스케줄러가 준비 큐에서 다른 프로세스를 선택하게 된다면 실행중인 프로세스는 회수당하며 준비 상..

1. 운영체제의 정의운영체제란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컴퓨터의 자원을 관리하거나 사용자가 내린 명령을 해석하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합니다. Application view실행 환경을 제공하며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추상화한다. System view컴퓨터의 여러 자원을 관리한다. Implementation view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역할하드웨어의 추상화보안 및 분리자원 공유2. 커널 모드, 사용자 모드운영체제가 하드웨어를 제어를 한다고 했는데 여기서 프로그램이 하드웨어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것을 수행하기 위해서 2가지 모드가 존재한다.커널 모드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CPU의 명령어를 사용 가능자원 관리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