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하는 공대생

Container Service 본문

Cloud Computing/Docker

Container Service

운동하는 공대생 2022. 10. 7. 09:35
728x90
반응형

Container Service

컨테이너 서비스에서 컨테이너란 보통 우리가 연상하는 이미지 처럼 컨테이너 박스라는 이미지를 생각하게 된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바이너리, 라이브러리 및 구성 파일 등을 패키지로 묶어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시스템을 프로세스과 격리하기 위해서 이런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먼저 컨테이너 기반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환경을 패키징하여 가상화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하드웨어 레벨 가상화

-하이퍼바이저 등을 이용한 가상머신의 방식(하이퍼바이저: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platform)을 말한다)

운영체제 레벨 가상화

-컨테이너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식(실행에 필요한 요소를 패키징하여 제공)

Why people use Docker service

도커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컨테이너 동작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사전에 코드로 작성하고 자동화 작업을 하면 기업이 필요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에 빠르게 적용하는게 가능하다. 이러한 기술을 IaC 라고 한다. (IaC(infrastructure as code): 코드형 인프라(IaC)는 인프라 관리를 데이터 센터의 물리적 하드웨어에서 가상화, 컨테이너,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나는 도커를 변경 불가능한 인트라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작동에 필요한 요소(코드) 등을 전체적으로 하나하나 수정하는게 아니라 미리 작성된 코드(도커 이미지)를 간단하게 적용시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는 거라고 이해했다. 생각이 드는 장점으로는 자동화된 환경에서 시스템의 수정이 쉽고 빠르기 진행이 될것이라고 생각된다.)

Docker Image Command


docker pull #도커 허브 레지스토리에서 로컬로 도커 이미지 내려받기  
docker push #로컬에 있는 도커 이미지를 도커 허브 레지스트리에 업로드  
docker login #업로드를 하기 전 도커 허브 계정으로 로그인 수행  
docker logout #도커 허브에서 로그아웃  
728x90
반응형
Comments